전체기사보기
-
-
보충-에하라 고이치와 에키타이 안: 졸저 『안익태케이스』 보유(補遺)
-
-
에하라 고이치와 에키타이 안: 졸저 『안익태케이스』 보유(補遺)
- 이해영 (한신대교수, 대학원장)
-
2024-06-28
-
-
고문서
-
-
-
2024-06-28
-
-
보충-베토벤과 안익태
-
-
올 해는 베토벤 탄생 250주년 해다. 전세계적으로 온갖 행사가 준비되었지만 코로나로 인해
그의 사거일인 3월 26일에 조차도 아무 일도 없었다.
대개 베토벤의 마지막 작품이 그가 죽기 일 년 전인 1826년 작곡된 작품번호 135 곧 현악 4
중주 제16번으로 알기 십상이다. 그런데 여기 베토벤 작품번호 136 <영광의 순간>이 있다. 유튜브등에서 정명훈의 좋은 지휘로 쉽게 찾아 들을 수 있다. 이 작품은 1814년 작곡되었다. 그의 교향곡 제8번이 발표된 해다. 그런데 왜 이 작품은 생전에 출판되지 않았을까? 베토벤
자신이 거절한 탓이다.
그렇다면 왜? 이 곡은 1814년에 초연되었다. 1814년! 전유럽을 혁명
의 소용돌이로 내 몬 나폴레옹전쟁이 종결되고 메테르니히 반동체제가 자리잡는 비엔나회의, '회의는 춤춘다'로 유명한 이 반나폴레옹 전후처리회의는 그 해 9월 개최되어 다음 해 6월까
지 지리하게 이어지는 데, 그 와중인 1814년 11월 이 곡은 첫무대에 오른다.
영국,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러시아등 전승4국의 의도는 자명했다. 타도된 부르봉왕조를 복고
시켜 다시는 혁명운동이 부활하는 것을 막자는 것이었다. 아울러 일체의 자유주의, 민족주의
경향을 억압하고 탄압하는 그래서 삼엄한 경찰국가체제제를 안착시키는 것이었다. 베토벤은
바로 이 비엔나체제를 찬양하는 곡을 회의기간에 무대에 올린 것이다.
한 때 프랑스혁명을 동경, 파리로 이주할 생각조차 했었고 또 '황제' 나폴레옹에 대해 극단적 혐오감을 내비친 급진
공화주의자였던 그가, 제우스라는 기성의 절대권력에 맞선 프로메테우스라는 항의와 저항의
아이돌을 형상화했던 그가 이제 보수반동체제의 나팔수로 변신한 셈이다.
그래서 황제와 합스
부르크왕가를 낯 뜨겁게 찬양하는 그리고 바로 그 '새로운 유럽'의 중심 비엔나의 희망찬 미래를 기리는 곡을 만든 것이다. 우리로 치면 전두환시절 타락한 종교인들의 '조찬기도회'를 연
상하면 이해가 쉽다. 변절도 이런 변절이 없다.
1941년 2월 1일자 <대한민국임시정부공보 제69호>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북미 대한인국민회 중앙집행위원회로부터 안익태가 작곡한 애국가 신곡보의 사용허가를 요구하였으므로 대한민국 22년(1940년) 12월 20일 국무회의에서 내무부로서 그의 사용을 허가하기로 의결하다.”
물론 정식 국가로 의결했다는 말은 아니지만, 안익태의 신곡조 애국가는 이렇게 임정의 사용
허가를 얻었다. 같은 해 12월 10일 태평양전쟁 발발 직후 임정은 <대일선전성명서>를 발표한다.
이 선전포고문에서 임정은 ‘축심국’ 곧 일본, 독일, 이태리등 추축국에 ‘전쟁을 선언’하고
만주국과 남경정부를 절대 승인하지 않을 것임을 천명했다. 그래서 “왜구를 완전히 구축하기
위하여 최후의 승리를 거둘 때까지 혈전”할 것이라고 했다. 공교롭게도 임정이 대일본 선전포고를 발표했던 바로 그 시점전후, 안익태에서 에키타이안으
로 변신한 그는 베를린의 만주국공사관 참사관 에하라 고이치의 집으로 향하고 있었다. 이 집
에서 노르망디 상륙작전 직전까지 약 2년 반을 기식했다.
전후 뉘른베르크 전범재판기록과 미
육군 유럽사령부 정보국의 비밀보고서에 의하면 에하라 고이치는 일본 유럽첩보망의 독일 총책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정보는 나치 제국안전본부 제6국 해외첩보부산하 극동국장의 재판
기록에 근거한 것이다.
에하라 고이치의 사저에 있으면서 에키타이안은 1942년 독일음악계의 거두 리하르트 슈트라
우스의 <황기 2600년 기념 축전곡>을 지휘했다. 그리고 그 해 9월 18일 중국에서 9.18사변이
라 불리는 즉 만주사변일에 맞추어 <만주국 건국 10주년 기념 축전곡>을 작곡해서 지휘했다.
나치 선전성이 제작한 이 날의 실황 영상은 마지막 4악장이 독일연방기록원에 남아있는데, 그 중 마지막 40초가량이 편집되어 나치의 전쟁뉴스를 통해 전세계에 방송되었다.
에키타이안은 1943년 2월 11일 일본 건국기념일에 비엔나에서 만주국을 다시 지휘했다. 이 때 그는 자신의 <만주국>과 베토벤의 교향곡 9번 <합창>을 같이 올리자고 했다가 거절당했다. 하지만
5.16이후인 1962년 자신이 주도한 제1회 국제음악제때 꿈을 이루었다. 물론 <만주국>이 아니
라 <한국환상곡>과 <합창>을 묶어서 말이다. 베토벤은 메테르니히 반동체제를 위해 자신의 공화주의 신념을 훼절했지만 그 작품은 버렸다. 에키타이안은 변절의 도구였던 그 작품을 울궈먹고 또 울궈 먹었다. 그러는 사이 좌건 우건
우리 모두가 비루해졌다.
-
2024-06-28
-
-
[Interview] The untold story behind South Korea’s national anthem
-
-
Professor Lee Hae-young reveals national anthem composer Ahn Eak-tai’s pro-Japanese actions and possible Nazi ties
Professor Lee Hae-young of Hanshin University elaborates on the pro-Japanese activity and possible Nazi ties of South Korean composer and conductor Ahn Eak-tai
Over the past decade, the pro-Japanese actions of Ahn Eak-tai (1906–65) – the composer of South Korea’s national anthem, called “Aegukga” – have continued to come to light. But what if Ahn wasn’t just pro-Japanese but also had close ties to the Nazis?
Lee Hae-young, a political scientist and professor of international relations at Hanshin University, has previously waded into tendentious topics including the US-Korea Free Trade Agreement, imported American beef, and the domestic film quota. This time, he delves into the past of composer and conductor Ahn Eak-tai.
Lee’s book “The Ahn Eak-tai Case: A Study of the Symbol of the Anthem,” which was recently published by Samin, is a controversial work in which Lee marshals the latest documents, which he unearthed himself during eight years of research, to outline not only the pro-Japanese activities of “Ekitai Ahn” (Ahn’s Japanese name), but also his pro-Nazi activities. Lee sat down for an interview at the Hankyoreh office in Seoul’s Gongdeok neighborhood on Jan. 11.
A classical music aficionado and audiophile, Lee studied abroad in Germany, which was Ahn’s main area of activity. Perhaps unsurprisingly for a controversy-courting political scientist, Lee takes a sharper stance than musicologists’ previous academic treatments of the Ahn issue.
Ahn wasn’t a collaborator from the very beginning. At the premiere of “Aegukga” in the US in 1935, Ahn said, “I hope that this will go a long way toward helping the Korean national movement and our spirit of patriotism.”
who composed the song currently regarded as South Korea’s National Anthem. (Kim Jung-hyo
Ahn’s pro-Japanese activity begins after outbreak of WWII
It wasn’t until World War II broke out that Ahn’s pro-Japanese activity really began. When Germany went to war with the Soviet Union in 1941, the Japanese Empire ordered the evacuation of its citizens from the countries of Europe. But Ahn was afraid that if he went back just then, everything he’d accomplished in the US and Europe would have been for nothing. And so Ahn paid a visit to Koichi Ehara, who was ostensibly in Berlin as a diplomat for Manchukuo but was actually the head of Japan’s spy network in Europe, and asked for his advice.
After this meeting, Ahn ended up staying at Ehara’s home in Berlin for two and a half years, from 1941 to 1944. During that time, Ahn conducted 30 concerts in Germany and its allies (Italy), conquered countries (France) and friendly countries (Spain), including at the Beethoven Festival, which was held in Paris in 1944 to celebrate Hitler’s birthday. The pieces performed in these concerts included pieces that Ahn had composed, such as “Etenraku” and “Manchukuo Fantasia,” and “Japanese Festival Music,” by Richard Strauss. Interestingly, Ahn was the only Korean to become a member of Nazi Germany’s Reichsmusikkammer (State Music Bureau). On Ahn’s membership card, he falsely listed his birthplace as being Tokyo, rather than Pyongyang.
“After the outbreak of World War II, Ahn jettisoned his weak nationalist leanings and became actively pro-Japanese. He apparently always had strong ambitions for his career in music,” Lee said.
Lee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fact that several of the concerts in which Ahn was the conductor were organized and sponsored by the German-Japanese Society. A civilian friendship and academic exchange organization, the German-Japanese Society was affiliated with and funded by the Nazi Party and served as a foreign propaganda organ for those two countries.
When these points are taken into account, Lee argues, it’s reasonable to regard Ahn as having been a “special agent” for Ehara. Shortly before the Allies’ landed at Normandy, Ahn “fled” to Spain (which was on friendly terms with Germany and under the Fascist rule of Franco), as if Japan had tipped him off about the planned landing. Afterward, Ahn, who had been designated as “persona non grata” in France, didn’t return to Germany or Austria. This is also evidence of his pro-Nazi activity.
S. Korean government needs to take action to acquire documents from Germany
staff photographer)
Lee has been personally paying visits to German federal archives to make copies of documents related to Ahn, but he says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eds to take action to acquire records and documents. “So far, I think we’ve only learned about 70% of the facts about what Ahn did. The government needs to officially make copies of the Ahn Eak-tai files and video footage at the German federal archives. We also need the government’s help to ask these archives to see if there are any other documents we haven’t found yet,” Lee said.
Ahn’s “Aegukga” is customarily referred to as Korea’s national anthem, but the Republic of Korea doesn’t currently have a legally designated anthem. This led to a movement to choose a new anthem in the 1960s and 1970s and prompted the creation of an “anthem designation committee” during the administration of Chun Doo-hwan. This committee took issue with “Aegukga” because of its sentimental tune and lyrics and tried to create a new national anthem. In short, both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felt the need to create a new anthem.
Ahn Eak-tai (right) and Germany composer Richard Strauss discuss Ahn’s conduction of the piece “Japanese Festival Music
“Ahn’s actions in Europe were kept under wraps for more than 60 years, and his pro-Japanese activities have only surfaced over the past decade. Even now, bookstores carry a number of books portraying Ahn as a national hero. But his confirmed collaboration with the Nazis would be enough to earn a death sentence in France. It’s inconceivable that a song composed by a conniving collaborator would be sung as the national anthem in France, or even in the UK or the US,” Lee said.
Lee plans to raise the issue of choosing a new national anthem at the National Assembly’s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Committee. “The anth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ymbols of the nation; it represents a central ceremony through which that nation’s members confirm and share their group identity. How much longer can Korea society disregard the fact that its anthem is so unpatriotic? When we haven’t even dealt with the basic issue of ‘Aegukga,’ there’s no point in talking about the Mar. 1 Movement or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t’s time for an answer to be given.”
By Kim Ji-hoon, staff reporter
Please direct comments or questions to [english@hani.co.kr]
-
2024-06-28
-
-
보도자료-에키타이 안 만주국 건국 10주년 음악회 영상 공개 기자회견 관련 자료
-
-
에키타이 안 만주국 건국 10주년 음악회 영상 공개 기자회견 관련 자료
-
2023-07-21
-
-
안익태의 만주환상곡 영상자료
-
-
폐친 조계문님이 홍영두교수의 중계로 안익태=에키타이 안(아래 사진)의 1942년 9월 '만주환상곡' 장면을 다시 편집해서 유튜브에 성공적으로 복원시켜 놓으셨다. 이 자리를 빌어 다시 한 번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
이미 밝힌 대로 이 40초가량의 연주회 클라이막스 장면은 프랑스국립영상원INA 가 소장한 나치독일 점령기인 1942년 10월 2일자 전황뉴스의 마지막부분에 실려 있다. 연주장 맨 앞에 앉아 있는 자는 당시 주독 일본대사이고 그 옆은 만주국 영사가 아닌가 싶다. 이 시기는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진주만공습이후 아시아 태평양 전쟁이 한 창인 시점이었다. 당시 상해 임정은 진주만 공습 직후 대일 선전포고를 정식으로 한 바 있다. 아무튼 일본의 놀라운 전광에 당시 독일 전역은 일본붐이 불고 있었다. 안익태가 본격적인 친일 행각을 벌이기 시작한 것은 대략 이시기이고, 독-일문화협정에 따라 독, 일 양국은 프로파간다 활동을 상호지원하고 있었다. 그 일환...으로 반관반민의 독-일협회가 독일 전역에 조직되어 있었고 이 협회의 지원으로 에키타이는 인생의 황금기를 구가하고 있었다. 물론 에키타이가 재독 일본음악인의 선두 혹은 일진은 아니었다. 당시 일본수상의 친동생이자 일본귀족이자 작곡가이기도 했던 고노에가 먼저고 그 다음이 에키타이였다.
이 영상에서 연주되는 곡은 '만주환상곡'이다. 내가 누차 말한 바 있지만 에키타이는 30년대에 작곡했던 '코리아 환상곡'을 자기표절 바로 만주곡 건국 10주년 기념일에 맞추어 '만주환상곡'을 지휘했고, 이후 동일한 곡을 '극동', '동아'라는 이름으로도 지휘했다. 에키타이는 독일점령국이거나 추축국을 중심으로 유럽 곳곳에서 자신의 이 곡 만주환상곡을 지휘했다. 거의 1942년-43년이다. 그러다 1944년 연합군이 노르망디에 상륙한 뒤 당시 파리에 연주여행중이던 에키타이는 프랑코 파시스트정권이 집권한 스페인으로 도주한다.
논란의 핵심은 지금 한 40초 정도 나오는 만주환상곡이 과연 애국가가 포함된 코리아환상곡이냐 아니냐다. 현재 에키타이 본인이 바로 만주환상곡의 악보를 폐기처분했고, 영상속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사용했을 악보는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지금 독립기념관에 남아 있는 코리아환상곡의 가장 오래된 버전은 에키타이가 스페인으로 도주하던중 가지고 있던 만주환상곡 악보를 폐기하고 이를 이보한 바로 그 것이다 훗날 에키타이는 이 악보를 '민족의 영도자' 이승만에게 헌정했다.
그리고 이 곡이 음반으로 제작된 것은 확실하다. 왜냐 하면 에키타이가 스페인으로 도주한 뒤에 바르셀로나 방송국 편성표에는 만주환상곡이 방송된 일자 시간등이 고스란히 나와 있다. 그리고 음반으로 방송한 사실도 기재되어 있다. 이 편성표는 내가 이미 포스팅한 바 있다. 바로 이 SP음반을 찾아 낸다면, 애국가 논쟁은 전혀 새로운 국면으로 갈 것으로 본다. 그리된다면 정부도 지금처럼 소닭보듯 할 수는 없을 게다. 안익태의 친일부역 행위 여부는 전혀 논란거리가 아니라고 나는 본다. 그저 이 동영상을 딱 한 번 보는 것만으로도 답변은 충분하다. 그리고 7분짜리 영상도 이미 존재한다.
다시 전열을 가다듬어 이 SP음반을 찾으러 가야것다.
-
2022-08-14
-
-
에키타이안, 스트라우스, 소토먀요(스페인화가) 1946년 4월 카탈라냐음악당(바르셀로나)
-
-
* 한국에서 처음 공개되는 사진
Títol Ekitai Ahn
Autor
Presse-ILlustrationem Hoffman (Viena)
Data del document original
Abril 1946
Localització
Palau de la Música Catalana
Matèria
Directors d'orquestraCompositors
Onomàstics
Ahn, EkitaiStrauss, Richard, 1864-1949
Descripció
Retrat d'Ekitai Ahn, Richard Strauss i el pintor Lluís Sotomayor
Signatura
2.4.2_0060.02
Font
2 fotografies;paper; positiu; b/n
Editor
Centre de Documentació de l'Orfeó Català
Data de publicació
2014
Format
Jpg
Gestió dels drets
Còpia permesa amb finalitat d'estudi o recerca, citant la font "Centre de Documentació de l'Orfeó Català". Per a qualsevol altre ús cal demanar autorització.
Tipus de recurs (Europeana)
Image
Repositori
Memòria Digital de Catalunya
Gestió dels drets (Europeana)
http://www.europeana.eu/rights/rr-f/
-
2021-12-31
-
-
만주환상곡 소개 영상, 2차대전 프랑스 방송
-
-
에키타이안=안익태, 필요가 있어 유튜브에 일전에 내가 찾은 안익태 만주환상곡 동영상을 검색하니 이렇다. "안익태, 만주국...이 동영상과 연결된 Youtube 계정이 여러 건의 제 3자 저작권 침해 신고로 인해 해지 되었습니다 " 한마디로 삭제되었다. 원래 내가 올린 1942년 10월 2일 나치 점령하 프랑스 방송국에서 제작한 전쟁뉴스 9분3초 - 9분 40초 사이가 안익태=에키타이 안의 베를린 공연 즉 만주국 건국 10주년 기념공연중 클라이막스 장면이다. 흔히 이를 두고 안익태가 유럽에서 <코리아환상곡>을 연주했다고 거짓되게 알려진 그 장면이다. 안익태는 2차대전이 종전되기 까지 바로 이 <만주환상곡>을 레퍼토리로 순회공연을 했다. 당연 일본괴뢰국 만주영사관의 전폭적 지원하에서다.
파리계시는 Young-Lee Rim-Fuster 선생께서 영상에 나오는 아나운서 멘트를 통역해 주셨다. A Berlin, le célèbre chef d'orch...estre japonais Ekitai Ahn dirige lui - même l'exécution d'une de ses oeuvres qui révèle l'influence occidentale sur la musique nippone d'aujourd'hui. (베를린에서는 유명한 일본인 지휘자 에키타이 안이 그의 작품 중 한 곡을 직접 지휘 연주하는데, 이곡은 오늘날 일본 음악에 미친 서양의 영향을 보여준다) 기본적으로 베토벤9번을 흉내낸 대편성 오케스트라와 합창편성, 후기낭만파취향의 테마, 애국가와 흡사한 선율등이 확인된다. 그리고 이곡에 대한 당시 나치독일의 시선은 기본적으로 이곡이 현대 '일본'음악이고, 서양음악의 압도적 영향하에서 만들어졌다는 데있다. <만주>, <극동>등으로 자기표절되던 이 곡의 악보는 1944년 노르망디상륙작전이후 에키타이 안의 스페인 도주과정에서 폐기되고, 새로이 이보되어 <코리아환상곡>의 1차 악보로 남게된다.
■관련자료 링크 :
https://www.ina.fr/ina-eclaire-actu/video/afe86004295/journal-france-actualites-emission-du-2-octobre-1942
나의 페친 홍영두교수가 편집해 준 해당 장면이 유튜브에서 삭제되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9분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그러나 어쩌겠나, 가짜 애국자, 안익태의 친일부역의 현장을 목격하는 셈치고 봐줬으면 좋겠다. 참 무대중간에 걸린 일장기도 감상하면서 말이다. 아울러 지금 애국가에서 '대한사람 대한으로 -' 이하 부분의 선율하고 비교해 봐도 좋겠다.
그런데 과연 누가 "여러 건의 제3자 저작권 침해 신고"를 했을까. 분명 이 영상의 저작권은 프랑스국립영상원에 있다. 프랑스 영상원INA이 "여러건의 저작권 침해 신고"를 했을까? 과연 그럴까? 차제에 작년 베를린 국립 문서보관소에서 복사해 온 안익태=에키타이 안 자료를 전 국민이 공유하는 작업에 박차를 가해야 겠다.
-
2021-12-31
-
-
에텐라쿠 강천성악 in 1941 헝가리
-
-
안익태 즉 자막에 나오는 대로 '일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에키타이안'이다. 1941년 11월 헝가리 월드뉴스의 장면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에키타이안의 1940년대 초반의 영상은 모두 3가지다. 여기의 1941년 헝가리 영상이 있고, 1942년 베를린 방송교향악단을 지휘한 만주환타지가 있다. 만주환타지 영상은 오래전 2000년대 중반 국내에 소개되어 충격을 준 바 있는데, 현재 베를린 필름아카이브에 소재한다. 그 일부가 편집되어 나치점령하 파리의 전쟁뉴스에 삽입되었는데, 이 것을 편집해서 이미 올린바 있다. 이 영상도 페친 Moon Ma님이 수고해 주셨다.
에키타이안은 대략 1940년 - 1944년 사이 유럽에서 주로 추축국을 중심으로 연주여행을 하면서 사실상 같은 곡인 <교쿠토(극동)>,<만주환상곡> 그리고 바로 이 일본 궁중음악을 모태로 작곡한 <에텐라쿠>를 무대에 올렸다. 그리고 자신이 편곡한 바흐의 <토카타와 푸가 C장조>도 에키타이가 즐겨... 연주한 레퍼토리였다.
당시 독일에서는 2가지의 <에텐라쿠>가 연주되었다. 하나는 고노에 히데마로의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에키타이안의 것이었다. 고노에는 전시 일본 총리의 친동생이자 귀족집안의 자제로서 당시 재독 일본음악인의 중심이었다고 할만하다. 고노에의 <에텐라쿠>가 듣기에 일본 가가쿠(아악)의 전통에 충실한 것이었다면, 에키타이안의 그것은 보다 발랄하고 화려해서 대중들이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전후 에키타이안은 이 <에텐라쿠>를 어이없게도 <강천성악>으로 '우라까이' 내지 자기표절해 한국에 소개하기도 했다.
영상에 나오는 연주회는 1941년 10월 10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유서깊은 페스티 비가도홀에서 열렸다. 화면에서 보듯 왼쪽에는 일장기가 오른쪽에는 헝가리왕국의 국기가 걸려있다. 헝가리는 1940년 11월 20일 추축국에 가입했다. 이후 나치독일의 편에서 소련침공을 감행한다. 그래서 이 날의 연주회는 헝가리의 추축국 가입 1주년을 축하하고 대소전을 독려, 선전할 목적으로 기획된 것으로 보인다. 그도 그럴 것이 그 날의 연주회는 에키타이안의 <에텐라쿠>뿐만 아니라, 독일, 이태리의 음악 그리고 특히 헝가리 작곡가 산도르 베레슈(Sandor Veress)가 일본 황기 2,600년을 축하하기 위해 작곡한 <일본에서>도 연주되었기 때문이다.
-
2021-12-31
-
-
안익태의 '만주환상곡'은 대한민국 애국가인 '한국환상곡'
-
-
[오랜 만에 에키타이 안=안익태] 제자 이유철이 현지에서 어렵게 구해 준 귄터 하쉬가 편집한 <독-일협회 Deutsche-Japanische Gesellschaften von 1888 bis 1996>란 책에 에키타이 안이 등장하니 여기에 번역해 두고자 한다.(277-278쪽)에키타이 안은 1941-42년 [나치시기] 비엔나 총독Reichsstatthalter 발두어 폰 쉬락Baldur von Schirach이 관장했던 그리고 독-일협회 비엔나지부가 주최하는, <전시동계지원사업>을 위한 독-일협회주최 연주회시리즈를 통해 데뷔하였다. 원래 1942년 2월 3일로 예정된 연주회는 [전시] 석탄부족으로 3월 12일로 연기되었다. 연주회 프로그램에는 베에토벤의 에그몬트서곡, 에키타이 안이 오케스트라버전으로 편곡한 바흐의 토카타와 푸가 C장조, 리스트의 피아노 협주곡 A장조, 일본 황기 2,600년 기념으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가 작곡한 <일본 축전곡>이 들어가 있었다. 또 한 번의 그런 연주회가 1943년 2월 11일에도 열렸다. 독일협회의 비엔나지부 사무총장은 그 연주회의 전사를 이렇게 기술하고 있다.
에키타이 안씨는 일본대사관 참사관 M. 이마이를 통해 자신의 희망을 표현한 편지를 보내게 함으로써 비엔나에서 자신의 '만주환상곡'을 공연할 수 있었다. 이 연주회는 5월 초에 그것도 만주환상곡과 베토벤의 교향곡 9번 [합창]을 함께 올리자는 것이었다. 하지만 여기 비엔나에선 그런 식의 연주편성은 완전히 불가능했기 때문에, 비엔나총독 발두어 폰 쉬락에게도 문의한 뒤 독일제국 건국기념일인 1943년 2월 11일에 계획된 연주회때 오직 일본 작곡가의 일본 음악만으로 무대에 올리는 그런 방식으로 진행하자고 결정했다.
그렇지만 베에토벤 교향곡 7번과 레오노레서곡등 베에토벤의 작품과 에키타이안의 작품을 묶었던 그 날 밤 연주회는 독일의 스탈린그라드전투 패전이라는 암울한 분위기속에서 개최되었다. 비엔나 지부 사무총장은 말하길 "지금 이 불쾌하게 억눌린 분위기가 다수 청중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고 나는 모르긴 해도 상당량의 표를 공짜로 나눠 져야 할 것 같다." 만주국 건국 10주년을 기념해서 작곡된 이 작품은 "(일본어로 부른) 소박한 그렇지만 힘있게 종종 제창unisono으로 이어지는 마지막합창속에서, 희망에 찬 평화의 사절처럼" 울려 퍼졌다.
어쩌나, 바로 이 <만주환상곡>이 <한국환상곡>이고, 스탈린그라드전투 패배이후 더 한층 짙어진 패전의 무거운 분위기에서, 에키타이 안=안익태는 이들을 위로 하기 위해 '일본어로' 된 저 감동적인 <애국가>의 마지막 합창부분을 지휘하고 있었다. 물론 그 때는 <만주환상곡>의 클라이맥스이지만 말이다. 1996년 출판된 이 아주 객관적인 책의 저자 조차 바로 이 만주환상곡이 한국환상곡인 줄 꿈에라도 알까. 에키타이가 바랬던 것처럼, 진짜 이 한국 아니 만주환상곡과 베에토벤 9번 합창이 함께 무대에 올랐다면 어찌 되었을까. 울어야 하나, 웃어야 하나.
전쟁의 한 복판 하루 하루 고단한 삶을 견뎌야 했던 혹한속의 비엔나 시민들이 에키타이 안의 일본어로 된 오족협화의 선율에 위로를 받았을까. 그렇다면 안익태는 참으로 위대한 코스모폴리탄 박애주의자였음에 분명하다. 허나 그 선율에 - 황교안의 애국 기준에 따라 - 심지어 4절까지 따라 불러야 하는 우리는 어쩌나, 흔히 말하는 '비동시성의 동시성' 치곤 이건 너무 하지 않은가. 그래 '역사가 미쳤다!'
-
- 안익태 애국가
- 왜 문제인가?
- 친일 친나치 밀착
2021-12-31